으로 끝나는 네 글자의 단어: 130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30개 세 글자:79개 🐠네 글자: 130개 다섯 글자:25개 여섯 글자 이상:55개 모든 글자:420개

  • 서면 문 : (1)글로 쓴 문서를 통해 하는 문답.
  • 항체 응 : (1)항원을 투여하여 항체가 나타나는 결과. 투여된 항원의 종류, 면역 경로, 항원량, 피면역 동물의 종류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 자동 응 : (1)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메시지의 발신자를 목적하는 수신자로 선정하는 일. (2)송신하는 측에서 받은 호출 신호에 대하여, 수신 가능 상태에 있으면 조작하는 사람의 개입이 없이도 자동적으로 응답 신호를 반송하는 일.
  • 생체 응 : (1)외부로부터 자극을 받게 되면, 생체 내부의 면역력 향상, 항상성 조절 등을 위해 나타나는 몸의 반응.
  • 동문서 : (1)물음과는 전혀 상관없는 엉뚱한 대답.
  • 재벌서 : (1)초벌 다음에 두 번째로 하는 빨래
  • 부림봉 : (1)빗물과 지하수를 함께 이용하는 농토
  • 현문우 : (1)현명한 물음에 대한 어리석은 대답.
  • 위상 응 : (1)전달 함수를 크기와 위상으로 구분했을 때의 위상 성분.
  • 마위전 : (1)조선 시대에, 역마(驛馬)를 기르는 데 필요한 경비를 조달하기 위하여 각 역(驛)에 주던 논밭. 마위답과 마위전이 있었으며 세금이 없었다.
  • 백문백 : (1)백 가지 물음에 대하여 백 번 대답함.
  • 진문진 : (1)기이하고 색다른 물음에 기이하고 색다른 대답.
  • 면역 응 : (1)외부에서 동물 체내로 유입된 항원이 기존에 존재하던 항체나 면역 세포로부터 생산된 항체와 만나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일.
  • 강상문 : (1)조선 시대에, 학자 권상하(權尙夏)가 제자들과 문답한 내용을 그의 제자 한홍조(韓弘祚)가 기록하고 편찬한 책. ≪황강문답(黃江問答)≫이라고도 하며, 주로 당론(黨論)과 인물평 따위가 수록되어 있다. 1책의 사본.
  • 분광 응 : (1)광 감지기에서 빛의 파장에 따라 다른 출력과 입력의 비. 보통 출력과 입력의 비를 파장의 함수로 그려서 나타낸다.
  • 장외전 : (1)토지 대장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논과 밭.
  • 부분 응 : (1)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할 때 ‘다중 경로 페이딩’과 대역 제한된 채널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디지털 심벌간 상호 간섭을 부가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식.
  • 비전비 : (1)밭도 아니고 논도 아니라는 뜻으로, 쓸모없는 땅을 이르는 말. (2)아무 데도 쓸모없는 존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질의응 : (1)의심나는 점을 묻고 물음에 대답을 하는 일.
  • 천사문 : (1)천도교의 교조 최제우가 한울님과 직접 영감으로 문답한 일.
  • 인적미 : (1)아직 사람이 지나간 일이 없음.
  • 리셋 응 : (1)아이에스오(ISO) 7816 표준에 따라 규정한 스마트카드의 메시지 출력 응답. 카드 리더기로 카드 칩의 전자적 리셋 작업을 수행한다.
  • 배경 응 : (1)측정되어야 하는 전파원 이외의 전파원으로부터의 전리 방사에 의한 잡음.
  • 의산문 : (1)조선 후기에, 홍대용이 지은 책. 중국 청나라를 왕래하면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하여, 실옹(實翁)과 허자(虛子)의 문답 형식으로 우주와 인간의 문제 따위를 논하였다. ≪담헌집≫에 수록되어 전한다.
  • 펄스 응 : (1)펄스파형의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
  • 초기 응 : (1)어떤 계통의 외부 입력 신호가 0일 때 내부 초기 상태에 따라 출력에 나타나는 시간 응답.
  • 최소 응 : (1)어떤 질의에 대한 응답을 집합으로 표현했을 때, 그 집합의 어떤 진부분 집합도 질의에 대한 답이 되지 않는 응답.
  • 남전북 : (1)밭은 남쪽에 논은 북쪽에 있다는 뜻으로, 가지고 있는 논밭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음을 이르는 말.
  • 아시서 : (1)‘애벌빨래’의 방언
  • 우문우 : (1)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어리석은 대답.
  • 저두부 : (1)머리를 숙이고 대답하지 아니함.
  • 조성 응 : (1)푸가나 카논에서 주제 또는 선행 성부의 음정 관계를 변경하여 모방하는 응답.
  • 관모전 : (1)통일 신라 시대에, 관아에서 쓰는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여 둔 토지.
  • 고도 응 : (1)고도를 알려 달라는 뜻으로 하는 말. 관제탑과 비행기 사이에 사용하는 용어이다.
  • 일문일 : (1)한 번 물음에 대하여 한 번 대답함.
  • 묵묵부 : (1)잠자코 아무 대답도 하지 않음.
  • 필문필 : (1)글로 써서 묻고 대답함.
  • 차문차 : (1)한편으로 물으면서 한편으로 대답함.
  • 양전옥 : (1)기름진 밭과 논.
  • 역하 응 : (1)탈분극을 일으키도록 흥분성 세포에 전기 자극을 주었을 때, 활동 전위가 발생하는 역치 이하의 전류 강도에서 볼 수 있는 전위적인 응답.
  • 아시새 : (1)‘애벌빨래’의 방언
  • 화리부 : (1)화리의 소작 관행이 행하여지던 논.
  • 경사 응 : (1)어떤 계통에 경사 입력이 들어올 때의 출력 응답. (2)일정한 비율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측정 대상 신호에 대한 계측기의 출력. 계측기의 정확도를 규정하거나 정의할 때 사용된다.
  • 불윤 비 : (1)임금이 정승의 사직(辭職)을 허락하지 않던 일.
  • 진정 응 : (1)주제나 선행 성부의 음정 관계를 5도 위에서 또는 4도 아래에서 그대로 모방하는 응답.
  • 문전옥 : (1)집 가까이에 있는 기름진 논.
  • 종애서 : (1)‘개짐’의 방언
  • 일등호 : (1)물을 대기가 좋아 농사짓기에 좋은 논
  • 조셰 : (1)‘개짐’의 옛말.
  • 이차 응 : (1)처음에 가한 항원과 같은 종류의 항원을 이차로 가하였을 때 나타나는 동물의 반응 현상.
  • 중복 응 : (1)동일한 문항에 대하여 두 가지 이상으로 응답함. 또는 그런 응답.
  • 아시셔 : (1)‘애벌빨래’의 방언
  • 박전박 : (1)메마른 논과 밭.
  • 자연 응 : (1)어떤 회로나 시스템이 그 자체의 특성에 의하여 외부 전원과 무관하게 초깃값의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응답.
  • 램프 응 : (1)입력이 일정한 값에서 일정한 속도로 계속 변화해 나갈 때의 응답.
  • 음성 응 : (1)컴퓨터로 음성을 출력하는 일. 자기 드럼에 이미 녹음한 음성 파형을 컴퓨터의 디지털 정보에 의하여 조합하여 출력한다.
  • 바닥 응 : (1)지진이 일어날 경우 건물 각 층의 바닥에서 일어나는 지진 응답. 바닥 위에 있는 가구나 설비 따위의 움직임을 예측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 짓물서 : (1)양잿물로 하는 빨래
  • 탄성 응 : (1)탄성 복원력을 갖는 진동계에 동적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생기는 응답.
  • 일가방 : (1)‘일가친척’의 방언
  • 누락 오 : (1)난이나 칸에 기록되거나 기입되어야 할 것이 빠진, 잘못된 답.
  • 확인 응 : (1)메시지 수신과 같은 특정한 사건이 발생했음을 알려 주기 위해, 한 네트워크 장치에서 다른 네트워크 장치로 보내는 통지.
  • 민민답 : (1)‘민민답답하다’의 어근.
  • 옥전옥 : (1)기름진 논과 밭.
  • 궁금답 : (1)‘궁금답답하다’의 어근.
  • 정권분 : (1)조선 시대에, 과장(科場)에서 미리 써 놓은 시험 답안지로 바꿔서 내던 일. 과거 제도의 여덟 가지 폐단 가운데 하나이다.
  • 조의서 : (1)‘개짐’의 방언
  • 촌주위 : (1)신라 때에, 촌주에게 녹봉 대신 주던 논.
  • 스텝 응 : (1)프로세스나 제어계의 입력을 어떤 값에서 다른 값으로 순차적인 계단형으로 바꿀 때 나타나는 전송로의 출력 신호 응답.
  • 부정 응 : (1)이차국이 요구 메시지를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로, 이차국에서 일차국으로 보내지는 메시지.
  • 질의문 : (1)의심나는 점을 묻고 대답하는 일.
  • 상전옥 : (1)수확이 많은 좋은 밭과 기름진 논.
  • 만첩련 : (1)‘목련답’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만첩연답’이다.
  • 선문선 : (1)참선하는 사람들끼리 진리를 찾기 위하여 주고받는 대화.
  • 지진 응 : (1)지진에 의해서 지반에 생기는 진동 때문에 물체가 운동을 일으키는 현상.
  • 거짓 응 : (1)무선 수신기나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수신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에서 출력이 얻어지는 것. 수신기의 국부 발진기에서 발생하는 불요 고조파 성분과의 차가 꼭 중간 주파수가 되는 주파수가 수신기의 출력에 불요의 성분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2)전자파 적합성에서, 동조(同調)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에 대한 전자 기기의 출력이나 반응.
  • 수문수 : (1)묻는 대로 거침없이 대답함.
  • 용퇴고 : (1)관직에서 용기 있게 물러나 속세를 떠나서 생활함.
  • 확정 응 : (1)특정 질의에 대해 제공하는, 엔투플로 구성된 응답.
  • 복수 정 : (1)한 문제에서 옳은 것으로 인정하는 여러 개의 정답.
  • 농춘화 : (1)봄의 정취에 겨워 서로 노래로 답함.
  • 난의문 : (1)어렵고 의심스러운 것을 서로 묻고 대답함.
  • 완전 응 : (1)정상 상태 응답과 과도 응답의 합.
  • 군은보 : (1)임금의 은혜에 보답함.
  • 시도 응 : (1)한편에서는 질문을 하고, 또 다른 한편에서는 인증을 받기 위해 유효한 답변을 해야 하는 프로토콜.
  • 다모작 : (1)같은 논에서 일 년 동안 벼와 다른 작물을 번갈아 재배할 수 있는 논.
  • 초불서 : (1)‘애벌빨래’의 방언
  • 종중전 : (1)종중(宗中) 소유의 밭. 그곳에서 추수한 것은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데 쓴다.
  • 단일 응 : (1)설문 조사나 시험 따위에서, 객관식 보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단 하나로 응답하는 형태.
  • 묵연부 : (1)말없이 대답하지 아니함.
  • 내시령 : (1)통일 신라 시대에, 왕실 재정 기관인 내성의 벼슬아치인 내시령에게 주어진 직전(職田).
  • 무사가 : (1)사리가 옳아 감히 무어라고 대답할 말이 없음.
  • 소이부 : (1)그저 웃기만 하면서 답을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난처한 질문에 대답하지 않고 슬며시 피함을 이르는 말.
  • 시간 응 : (1)특정 작동 조건에서 어떤 입력을 주었을 때의 출력을 시간 함수로 표현한 것.
  • 천수봉 : (1)‘천수답’의 방언
  • 복수 응 : (1)동일한 문항에 대하여 두 가지 이상으로 응답함. 또는 그런 응답.
  • 인증 응 : (1)인증 알고리듬의 18비트 출력 방식의 응답. 이동국의 등록, 호의 시작 및 종료 따위를 확인한다.
  • 전인미 : (1)이제까지 그 누구도 가 보지 못함. (2)이제까지 그 누구도 손을 대어 본 일이 없음.
  • 량전옥 : (1)‘양전옥답’의 북한어.
  • 정현 응 : (1)어떤 계통의 초기 상태가 0일 때 정현파 입력에 대한 출력 시간의 응답 신호. 대상 계통이 선형 시불변이면 응답이 입력과 똑같은 주파수의 정현파로 나타나며 진폭과 위상만 바뀐다.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00개) : 다, 닥, 닦, 단, 닫, 달, 닭, 담, 답, 닷, 당, 닻, 닼, 닽, 대, 댁, 댄, 댈, 댐, 댓, 댕, 댯, 더, 덕, 덗, 던, 덛, 덜, 덤, 덥, 덧, 덩, 덫, 덭, 데, 덱, 덴, 델, 뎁, 뎅, 뎌, 뎔, 뎜, 뎡, 뎧, 뎨, 도, 독, 돆, 돈, 돌, 돍, 돐, 돓, 돔, 돗, 동, 돛, 돜, 돝, 됀, 되, 됙, 됨, 됴, 두, 둑, 둔, 둘, 둟, 둠, 둥, 둬, 둼, 둿, 뒈, 뒘, 뒝, 뒤, 뒴, 뒷, 뒹, 뒿, 듀, 드, 득, 든, 들, 듥, 듬, 듯, 등, 듸, 디, 딘, 딜, 딤, 딥, 딩, 딮

실전 끝말 잇기

답으로 시작하는 단어 (233개) : 답, 답가, 답가하다, 답간, 답간하다, 답감, 답감하다, 답결, 답계, 답계하다, 답곡, 답교, 답교놀이, 답교하다, 답구, 답구희, 답국, 답권, 답글, 답농, 답니까, 답니다, 답다, 답다부리하다, 답다비, 답다하다, 답달, 답답, 답답다, 답답선 ...
답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233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답으로 끝나는 네 글자 단어는 130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